
동아 고등 한국사 2
Ⅲ. 오늘날의 대한민국
2. 외환 위기 극복과 사회·문화의 변동
핵심 내용 정리
1) 외환 위기(IMF 구제 금융 사태)
- 배경: 김영삼 정부의 세계화 정책, 급격한 시장 개방, OECD(경제 협력 개발 기구) 가입(1996).
- 원인: 기업들의 무리한 차입 경영, 금융 기관 부실, 동남아 외환 위기 여파 → 1997년 외환 위기 발생.
- 극복 (김대중 정부): 국제 통화 기금(IMF)의 구제 금융 신청. IMF 요구 수용 (고강도 구조 조정, 공기업 민영화, 정리 해고제 도입). 국민들의 금 모으기 운동. → 2001년 IMF 관리 조기 졸업.
- 결과: 실업률 급증, 비정규직 노동자 증가, 사회 양극화 심화.
2) 개방 경제와 노동 환경의 변화
- 개방 경제: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 확대 (2004년 칠레와 최초 발효).
- 노동 운동의 성장: 1987년 6월 민주 항쟁 직후 노동자 대투쟁 발생 (임금 인상, 노조 결성). → 전국 민주 노동조합 총연맹(민주 노총) 결성(1995).
- 노동 환경 변화: 외환 위기 이후 비정규직 문제 대두. 최근 플랫폼 노동자(배달, 대리운전 등)의 처우 개선 문제 등장.
3) 현대 사회의 변화와 과제
- 사회 양극화: 소득 격차 심화. → 정부의 복지 정책 확대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 제정, 1999).
- 저출산·고령화: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 급격한 고령화. → 노동력 감소, 세대 갈등, 복지 부담 증가.
- 다문화 사회: 1990년대 이후 외국인 산업 연수생, 국제결혼 등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 증가. → 사회 통합 노력 (재한 외국인 처우 기본법 등).
- 북한 이탈 주민: 1990년대 중반 이후 증가. 북한 이탈 주민법(1997) 제정, 정착 지원.
4) 한류의 확산
- 한류(韓流)의 시작 (1990년대): 드라마, 대중음악이 중국, 일본 등 아시아에서 인기.
- 한류의 확산 (2000년대~): K-pop(싸이 ‘강남스타일’, 방탄소년단(BTS) 등), 영화(기생충) 등이 인터넷과 OTT를 통해 전 세계로 확산.
- 신한류: 대중문화를 넘어 패션, 음식, 한국어 학습 등 한국 문화 전반으로 관심 확대. 한류 팬덤이 기후 변화, 인권 문제 등 사회적 활동에도 참여.
스토리텔링
위기 속에 피어난 변화, 세계로 나아간 한국
1996년, 대한민국은 ‘선진국 클럽’이라 불리는 ____에 가입하며 세계화를 향해 달려갔습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1997년 무리한 투자와 외채 부담으로 기업들이 무너지고 달러가 바닥나며 ____가 터졌습니다. 국가는 ____에 구제 금융을 신청하는 ‘국가 부도’ 사태를 맞았습니다.
위기 속에서 ____ 정부가 출범했고, 국민들은 돌반지까지 내놓는 ____에 동참했습니다. 뼈아픈 구조 조정과 ____의 아픔을 겪으며 2001년, 우리는 IMF 관리 체제에서 조기 졸업했습니다. 하지만 그 대가로 ____이 급증하고 소득 격차가 커지는 ____라는 깊은 상처를 안게 되었습니다.
한편, 민주화의 열기는 노동 현장으로 이어졌습니다. 1987년 6월 항쟁 직후, 노동자들은 “우리도 인간답게 살고 싶다”며 ____을 벌였고, ____(1995)이 결성되며 노동자의 목소리는 더욱 커졌습니다.
21세기 한국 사회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습니다. 아이 울음소리가 줄어드는 ____ 현상과 노인 인구가 늘어나는 ____ 문제는 우리 사회의 근간을 흔들고 있습니다. 동시에 1990년대 ____ 유입과 국제결혼이 늘며, 우리는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____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가장 놀라운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1990년대 아시아를 휩쓴 드라마 ‘겨울연가’에서 시작된 ____ 열풍입니다. 이제는 ____와 ‘기생충’으로 대표되는 K-pop과 영화가 전 세계를 무대로 한국 문화를 알리는 ‘신한류’로 발전했습니다. 위기를 기회로, 다름을 공존으로, 문화를 세계로 이끌어가는 대한민국의 역동적인 변화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단답형 문제
(빈칸을 클릭하면 답이 보입니다)
- 1990년대 김영삼 정부가 추진한 개방 정책의 구호는? ____
- 1997년 한국이 외환 보유액 부족으로 구제 금융을 신청한 국제기구는? ____
- 외환 위기 극복 과정에서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금을 모아 외채를 갚으려 한 운동은? ____
-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한 구조 조정 과정에서 고용 안정이 어려운 ‘이 직위’ 노동자가 증가하였다. ‘이 직위’는? ____
- 2004년 한국이 최초로 체결하여 발효된 자유 무역 협정(FTA)의 상대 국가는? ____
- 1987년 6월 민주 항쟁 직후, 노동자들이 임금 인상과 노조 결성을 요구하며 벌인 대규모 투쟁은? ____
- 1995년 한국 노동조합 총연맹(한국 노총)과 함께 양대 노조 체제를 이룬 노동조합은? ____
- 소득 불평등과 계층 간 격차가 심해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____
- 김대중 정부 시기인 1999년, 빈곤층의 최소한의 삶을 보장하기 위해 제정된 법은? ____
- 합계 출산율이 급격히 낮아지고 평균 수명이 늘어나는 사회 현상은? ____
- 1990년대 이후 외국인 노동자, 결혼 이주민 등이 증가하며 한국 사회는 ‘이 사회’로 진입하였다. ‘이 사회’는? ____
- 정부가 북한을 탈출한 주민들의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1997년 제정한 법률은? ____
- 1990년대 아시아에서 한국 드라마와 대중음악이 인기를 끌기 시작한 현상은? ____
- 싸이의 ‘강남스타일’, BTS 등이 세계적 인기를 얻으며 한류가 전 세계로 확산되는 데 기여한 매체는? ____
- 대중문화를 넘어 패션, 음식, 한국어 등 한국 문화 전반으로 관심이 확대되는 현상은? ____
- 김영삼 정부가 ‘선진국 클럽’을 표방하며 1996년 가입한 국제기구는? ____
- 외환 위기 극복 과정에서 노동자, 사용자, 정부 대표가 모여 구조 조정 등을 논의한 기구는? ____
- 정리 해고가 일상화되면서 고용 안정성이 높은 직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O, X) ____
- 배달 기사, 대리운전 기사 등 온라인 플랫폼을 매개로 노동을 제공하는 노동자는? ____
- 1990년대 외국인 노동력을 도입하기 위해 시작된 제도는? 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