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 고등 한국사2 – Ⅱ-2. 6·25 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동아 고등 한국사2 – Ⅱ-2. 6·25 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동아 고등 한국사 2

Ⅱ. 대한민국의 발전

2. 6·25 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핵심 내용 정리

1) 6·25 전쟁의 배경과 전개

  • 배경: 38도선 부근 무력 충돌, 북한의 군사력 강화 (소련·중국 지원), 소련의 남침 승인, 애치슨 라인 선언 (미국 방위선에서 한반도, 타이완 제외).
  • 전개 과정:
    • 북한 남침(1950. 6. 25.): 3일 만에 서울 함락, 낙동강 방어선까지 후퇴.
    • 유엔군 참전: 유엔 안보리 결의로 유엔군 파병 (미국 등 16개국).
    • 전세 역전: 인천 상륙 작전 성공 → 서울 수복, 압록강까지 북진.
    • 중국군 개입: 대규모 중국군 참전 → 1·4 후퇴 (서울 재함락).
    • 교착 상태: 서울 재수복 후 38도선 부근에서 공방전.

2) 정전 협정과 전쟁의 영향

  • 정전 협정 (1953. 7. 27.): 소련 제안으로 2년간 협상. (쟁점: 군사 분계선, 포로 송환 방식). 휴전선, 비무장 지대(DMZ) 설치.
  • 한·미 상호 방위 조약 (1953. 10.): 이승만 정부가 정전 협정에 반대(반공 포로 석방 등)하자, 미국이 정전 수용 대가로 체결 (주한 미군 주둔 근거).
  • 전쟁의 영향:
    • 인명·물적 피해: 수백만 명 사상, 이산가족, 전쟁고아 발생, 산업 기반 완전 파괴.
    • 분단 고착화: 남북 상호 적대감 극대화, 남북한 모두 독재 체제 강화에 이용됨.
    • 국제 정세: 미국 (주한 미군 주둔), 일본 (전쟁 물자 수출로 경제 부흥), 중국 (북한 내 영향력 증대).

3) 이승만 정부의 독재 체제 강화

  • 배경: 제2대 국회의원 선거(1950)에서 이승만 비판 세력 다수 당선. 6·25 전쟁 중 거창 학살 사건, 국민 방위군 사건 등으로 정부 여론 악화.
  • 발췌 개헌 (1952): (임시 수도 부산) 국회 간선제로는 재선이 어렵자, 계엄령 하에 야당 의원 연행·협박, 기립 표결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 강제 통과.
  • 사사오입 개헌 (1954): 이승만의 종신 집권을 위해 ‘초대 대통령에 한해 중임 제한 철폐’ 내용. 개헌 정족수(135.33…) 1표 부족(135표) → ‘반올림’ 논리로 부결을 번복하고 통과.
  • 독재 강화: 1956년 대선에서 조봉암 선전. → 진보당 사건(1958)으로 조봉암 사형. 신국가 보안법 제정, 경향신문 폐간 등 반대 세력 탄압.

4) 전후 경제 복구

  • 남한 (원조 경제):
    • 특징: 미국의 무상 원조 물자(주로 잉여 농산물)에 의존.
    • 삼백 산업: 원조 받은 밀가루(제분), 설탕(제당), 면화(면방직) 중심의 소비재 산업 발달.
    • 문제점: 원조 물자 배분 과정 정경유착, 국내 농산물 가격 폭락, 1950년대 말 원조 감소(유상 차관 전환)로 경제 위기.
  • 북한 (사회주의 경제):
    • 독재 강화: 6·25 전쟁 이용 반대파 숙청. 1956년 ‘8월 종파 사건’ 계기 김일성 1인 독재 강화.
    • 경제 복구: 소련, 중국 원조. 천리마 운동(1956)으로 노동력 총동원.
    • 체제: 농업, 상공업의 전면적 협동조합화 (집단화).

스토리텔링

폐허 속의 형제, 엇갈린 길

1950년 6월 25일 새벽, 38도선 전역에서 포성이 울렸습니다. 북한의 기습 ____이었습니다. 3일 만에 서울이 함락되고, 국군은 ____ 방어선까지 밀려났습니다. 절체절명의 순간, ____의 깃발 아래 16개국이 참전했고, ____으로 전세는 단숨에 뒤집혔습니다. 국군과 유엔군은 압록강까지 진격했지만, 예기치 못한 ____의 개입으로 ____라는 혹독한 시련을 겪으며 다시 서울을 내줘야 했습니다.

다시 38도선 부근에서 치열한 공방이 2년간 이어졌습니다. 결국 1953년 7월 27일, ____이 체결되었습니다. 전쟁은 멈췄지만, 수백만 명의 희생자와 천만 명의 ____을 남겼습니다. 이승만 정부는 정전에 반대하며 ____를 석방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였고, 그 대가로 미국과 ____을 체결하여 분단은 더욱 굳어졌습니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 이승만 대통령은 장기 집권의 길을 걷기 시작했습니다. 1950년 2대 국회에서 야당이 다수 포진하자, 1952년 임시 수도 부산에서 계엄령을 선포하고 ____을 강행해 대통령 ____로 헌법을 바꿨습니다. 1954년에는 한술 더 떠, 개헌 정족수가 한 표 모자라자 ‘반올림’이라는 억지 논리를 내세운 ____으로 초대 대통령에 한한 중임 제한을 철폐했습니다. 1958년에는 유력한 정적 ____을 간첩으로 몰아 사형시킨 ____으로 민주주의는 질식해갔습니다.

당시 남한 경제는 미국의 원조에 절대적으로 의존했습니다. 밀가루, 설탕, 면화 등 ____이 발달했지만, 이는 미국의 잉여 농산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었고, 배분 과정에서 ____이 심화되었습니다. 북한 역시 전쟁으로 폐허가 되었지만, 소련과 중국의 원조를 받았습니다. ____은 전쟁을 빌미로 반대파를 모두 숙청하고 1인 독재 체제를 굳혔고, ____을 통해 노동력을 총동원하여 집단 농장 체제를 완성했습니다. 그렇게 남과 북은 서로에게 총부리를 겨눈 채, 너무나 다른 길로 나아가기 시작했습니다.

단답형 문제

(빈칸을 클릭하면 답이 보입니다)

  1.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38도선을 넘어 남한을 기습 공격하며 시작된 전쟁은? ____
  2. 6·25 전쟁 발발 직후, 북한을 침략자로 규정하고 파병을 결의한 국제기구는? ____
  3. 전쟁 초기 국군과 유엔군이 반격의 발판을 마련한 결정적 작전은? ____
  4. 국군과 유엔군이 압록강까지 북진하자, 전쟁에 개입하여 전세를 뒤바꾼 나라는? ____
  5. 1953년 7월 27일, 전쟁을 멈추기로 한 협정은? ____
  6. 정전 협정의 결과 설정된 남북한의 군사 분계선은? ____
  7. 이승만 정부가 정전 협정에 동의하는 대가로 미국과 체결한 조약은? ____
  8. 6·25 전쟁으로 헤어진 가족을 일컫는 말은? ____
  9. 1952년 이승만 정부가 임시 수도 부산에서 대통령 직선제로 헌법을 강제 통과시킨 사건은? ____
  10. 1954년 이승만 대통령의 3선 연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반올림’ 논리를 적용해 통과시킨 개헌은? ____
  11. 제3대 대통령 선거에서 선전했던 야당 지도자로, 이후 간첩 혐의로 사형당한 인물은? ____
  12. 이승만 정부가 조봉암을 제거하기 위해 해산시킨 정당은? ____
  13. 1950년대 미국의 원조 물자를 기반으로 발달한 3가지 흰색 원료(밀가루, 설탕, 면화) 산업은? ____
  14. 1950년대 말, 미국이 무상 원조를 줄이고 대가를 요구하는 차관으로 전환한 것은? ____
  15. 6·25 전쟁 중 예비군을 징집했으나 보급품 횡령 등으로 수많은 병사가 굶어 죽은 사건은? ____
  16. 6·25 전쟁 중 빨치산 토벌을 명분으로 군경이 민간인을 집단 학살한 사건은? ____
  17. 1950년대 북한에서 김일성 1인 독재 체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반대파를 대거 숙청한 사건은? ____
  18. 1950년대 후반 북한이 전후 복구와 사회주의 경제 건설을 위해 노동력을 총동원한 운동은? ____
  19. 1950년 1월, 미국 국무장관이 미국의 태평양 방위선에서 한반도를 제외한다고 발표한 것은? ____
  20. 6·25 전쟁 이후 남북한이 서로에 대한 적대감을 독재 체제 강화에 이용하면서 굳어진 상태는? ____

5지 선다형 문제

© 2025 동아 고등 한국사 학습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