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 고등 한국사2 – Ⅱ-1. 8·15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동아 고등 한국사2 – Ⅱ-1. 8·15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동아 고등 한국사 2

Ⅱ. 대한민국의 발전

1. 8·15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핵심 내용 정리

1) 냉전 체제와 광복

  • 냉전의 시작: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자본주의)과 소련(공산주의) 중심의 냉전 체제 형성.
  • 동아시아 정세: 중국 국·공 내전 → 중화 인민 공화국 수립(1949). 미국은 일본을 아시아 반공 기지로 삼으려 함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1951).
  • 광복: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무조건 항복으로 광복을 맞이함.

2) 광복 직후 정부 수립 노력

  • 국내: 여운형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건준) 조직 (좌우 합작). 미군 진주 전 조선 인민 공화국 수립 선포.
  • 국외: 이승만(미국에서 귀국), 김구 등 대한민국 임시 정부 요인 (개인 자격으로 귀국).
  • 한반도 분할 점령: 38도선을 경계로 이남은 미군정(직접 통치), 이북은 소련군(간접 통치)이 점령.

3)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와 좌우 대립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1945. 12.): 미국, 영국, 소련이 한국 문제 논의.
    • ① 임시 민주 정부 수립
    • ② 이를 위한 미·소 공동 위원회 설치
    • ③ 최대 5년간의 4개국 신탁 통치 협정 마련
  • 신탁 통치 파동: ‘소련이 신탁 통치 주장, 미국이 즉시 독립 주장’이라는 오보 발생.
    • 우익 (김구, 이승만 등): 신탁 통치 반대 운동 (반탁) 전개.
    • 좌익 (박헌영 등): 처음 반탁 → 회의 결정문 전문 확인 후 ‘3국 외상 회의 결정 지지'(찬탁 입장 선회).
  •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6. 3.): 임시 정부 수립에 참여할 정당·단체 범위를 두고 미국과 소련이 대립하여 결렬 (무기 휴회).

4) 통일 정부 수립 노력과 좌절

  • 이승만의 정읍 발언(1946. 6.): 미·소 공위 결렬 후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 최초 주장.
  • 좌우 합작 운동(1946): 여운형, 김규식 등 중도 세력이 분열 극복 위해 전개. 미군정이 초기 지원. 좌우 합작 7원칙 발표. (냉전 격화, 여운형 암살 등으로 실패)
  • 유엔 이관: 제2차 미·소 공위 결렬 후 미국이 한반도 문제를 유엔(UN)에 상정.
  • 유엔 총회 결정: ‘인구 비례에 따른 남북한 총선거’ 결정 → 소련이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의 입북 거부 → 유엔 소총회에서 ‘선거 가능한 지역(남한)’만의 선거 결정.
  • 남북 협상(1948. 4.): 김구, 김규식 등이 단독 선거 반대하며 평양 방문. 김일성 등과 회담했으나 성과 없이 귀환.
  • 제주 4·3 사건(1948. 4.): 남한 단독 선거 반대 등을 내세운 좌익 세력 무장봉기와 미군정의 강경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 희생.

5)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북한 정권 수립

  • 5·10 총선거(1948. 5. 10.): 우리 역사 최초의 민주적 선거 (보통·평등·직접·비밀 선거). 제헌 국회 구성.
  • 대한민국 정부 수립(1948. 8. 15.):
    • 제헌 헌법 공포(7. 17.): 민주 공화국, 대통령 중심제(국회 간선제).
    • 초대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시영 선출.
    • 1948년 12월, 유엔에서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
  • 북한 정권 수립(1948. 9. 9.):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수립 선포 (수상: 김일성). (이전 토지 개혁, 주요 산업 국유화 단행)
  • 정부 수립 과제:
    • 여수·순천 10·19 사건(1948):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 거부. 진압 후 국가 보안법 제정.
    • 반민족 행위 처벌법 제정, 반민특위 구성 → 이승만 정부의 방해, 경찰의 습격(국회 프락치 사건) 등으로 좌절.
    • 농지 개혁법 제정(1949): 유상 매입, 유상 분배 원칙. (경자유전 실현)

스토리텔링

혼돈 속의 해방, 엇갈린 건국의 꿈

1945년 8월 15일, 꿈에 그리던 ____이 찾아왔습니다. 기쁨도 잠시, 한반도는 ____을 경계로 남쪽은 ____이, 북쪽은 ____이 점령했습니다. 국내에서는 ____ 선생이 발 빠르게 ____를 조직해 나라의 기틀을 준비하고 있었죠.

그해 12월, 미국, 영국, 소련이 모인 ____에서 ‘임시 정부 수립’과 ‘최대 5년간의 ____‘가 결정되었습니다. 이 소식에 나라는 둘로 쪼개졌습니다. ____ 선생 등 우익 세력은 “신탁 통치는 제2의 식민 통치”라며 격렬한 ____ 운동을 벌였습니다. 반면 좌익 세력은 회의의 전체 결정을 지지하며 ____ 입장으로 돌아섰습니다.

이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1946년 ____가 열렸지만, 임시 정부에 참여시킬 단체의 범위를 놓고 미국과 소련의 입장 차이만 확인한 채 ____되었습니다. 바로 그때, ____은 정읍에서 “통일 정부가 어렵다면 남한만이라도 정부를 세워야 한다”는 ____ 수립 의사를 밝혔습니다.

민족의 분열을 막기 위해 ____, ____ 같은 중도파 지도자들이 ____을 펼쳤지만, 냉전이 심화되고 여운형 선생이 암살당하며 그 노력은 물거품이 되었습니다. 결국 한반도 문제는 ____으로 넘어갔고, ‘선거 가능한 지역’, 즉 남한만의 총선거가 결정되었습니다.

“38선을 베고 쓰러질지언정 단독 정부에는 협력하지 않겠다!”고 외친 ____ 선생은 통일 정부를 위한 마지막 노력으로 ____을 위해 평양에 갔지만, 이미 북한은 독자 정권 수순을 밟고 있었습니다. 1948년 4월 3일, 단독 선거에 반대하는 ____이 발발하여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되는 비극도 발생했습니다.

결국 1948년 ____가 실시되어 ____가 구성되었고, 7월 17일 ____이 공포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1948년 ____, ____을 초대 대통령으로 하는 ____가 수립되었습니다. 이에 맞서 북한도 9월 9일 ____ 수립을 선포하며, 한반도는 분단 국가의 길을 걷게 되었습니다. 새 정부는 ____를 통한 친일파 청산에 나섰으나 정부의 방해로 좌절되었고, ____을 실시하여 ‘농사짓는 사람이 땅을 갖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단답형 문제

(빈칸을 클릭하면 답이 보입니다)

  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이념 대립이 격화된 체제를 무엇이라 하는가? ____
  2. 광복 직후 여운형 등이 중심이 되어 국내 치안과 행정을 담당하기 위해 조직한 단체는? ____
  3. 일제의 항복 후 한반도에서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명분으로 미국과 소련이 설정한 군사 분계선은? ____
  4. 1945년 12월, 한반도에 임시 정부 수립과 신탁 통치 등을 결정한 3국의 회의는? ____
  5.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설치된 미국과 소련의 공동 기구는? ____
  6. 김구 등 우익 세력이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결정에 반발하며 전개한 운동은? ____
  7. 제1차 미·소 공위 결렬 후, 이승만이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을 주장한 발언은? ____
  8. 이승만의 정읍 발언에 반대하며 좌우 합작을 통해 통일 정부 수립을 추진한 중도 세력의 대표 인물 2명은? ____
  9. 미국이 한반도 문제를 이관하여 ‘선거 가능한 지역’에서의 선거를 결정하게 한 국제기구는? ____
  10. 남한 단독 선거 결정에 반대하며 김구, 김규식이 평양을 방문하여 진행한 회담은? ____
  11. 1948년 4월 3일, 남한 단독 선거 반대 등을 주장하며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봉기와 유혈 진압 사태는? ____
  12. 1948년 5월 10일, 우리 역사상 최초의 민주적 보통 선거로 실시된 총선거는? ____
  13. 5·10 총선거 결과 구성된 국회로, 헌법을 제정한 국회는? ____
  14.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날짜는? ____
  15.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규정된 정부 형태로, 국민이 주권을 가지는 공화국은? ____
  16. 제헌 국회에서 선출된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은? ____
  17. 1948년 9월 9일, 38도선 이북 지역에 수립된 정권의 공식 명칭은? ____
  18.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 거부로 시작되어 반공 체제가 강화되는 계기가 된 사건은? ____
  19. 친일파 처벌을 위해 제헌 국회가 제정한 법률은? ____
  20. 농지 개혁법에서 정한 토지 분배의 원칙(대가 지불)은? ____

5지 선다형 문제

© 2025 동아 고등 한국사 학습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