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엔 중3 역사 2
VI. 근·현대 사회의 전개
2. 자본주의와 사회 변화
핵심 내용 정리
1) 개항 이후 경제 구조의 변화
- 개항과 경제 침탈: 세계 자본주의 체제 편입. 열강(일, 청, 서구)의 경제 침략 → 곡물 유출 (쌀값 폭등), 면직물 유입 (수공업 타격). 청·일 상인 내륙 진출, 상권 침탈. 일제, 러일 전쟁 후 화폐 발행권 장악, 재정 예속화.
- 경제적 구국 운동: 열강의 이권(철도, 광산, 삼림 등) 침탈 → 저항 운동 전개. 대한 제국 (산업 육성, 재정 확충 노력 → 성과 미흡). 애국 계몽 운동 (산업 육성 통한 실력 양성). 국채 보상 운동 (1907, 일제 방해로 실패).
2) 일제의 식민지 경제 수탈 정책
- 목표: 한국을 식량·원료 공급지, 상품 시장화. 인프라(철도, 도로, 항만) 건설 (수탈, 대륙 침략 목적).
- 1910년대: 토지 조사 사업 (국유지 확대, 총독부 소유 증가). 회사령 공포 (한국인 기업 설립 억제).
- 1920년대: 회사령 폐지 (일본 자본 진출 본격화). 산미 증식 계획 (일본 식량 부족 해결 목적, 쌀 수탈 증가, 한국인 식량난 심화).
- 1930년대 이후 (병참 기지화): 대공황(1929) 이후 → 남면북양 정책 (원료 확보). 만주 사변, 중일 전쟁 이후 → 군수 물자 보급 기지화. 값싼 노동력, 자원 수탈. 농민·노동 운동 탄압.
- 결과: 자주적 근대화 좌절, 식민지 경제 구조 고착화, 한국인 경제적 몰락.
3) 광복 이후 경제 변화와 성장
- 광복 직후: 식민지 경제 극복 과제. 귀속 재산 처리. 농지 개혁 (1949~, 지주 계급 소멸, 자영농 증가).
- 6·25 전쟁과 원조 경제: 산업 시설 파괴, 경제적 어려움 가중. 미국 원조 의존 (밀가루, 면화, 설탕 → 소비재 산업 발달 기반, 대미 의존 심화).
- 경제 성장 (1960년대~): 박정희 정부 주도 경제 개발 계획. 외자 유치, 수출 주도 성장 전략.
- 1960년대: 경공업 중심 (섬유, 신발, 가발 등). 경부 고속 국도 건설.
- 1970년대: 중화학 공업 육성 (철강, 기계, 조선, 석유 화학 등). 수출 100억 달러 달성 (1977). 오일 쇼크 위기.
- 1980년대 이후: 기술 집약 산업 발달 (반도체, 자동차, 전자). 3저 호황.
- 경제 성장의 빛과 그림자: ‘한강의 기적’, 국민 소득 증대, 국가 위상 제고. / 저임금·장시간 노동, 노동 운동 탄압, 정경유착, 도시·농촌 간 불균형, 환경 문제 등 발생.
4) 신자유주의 확산과 사회 변화
- 신자유주의 등장 (1970년대~): 정부 개입 축소, 시장 자율성 강조, 규제 완화, 자유 무역 확대.
- 한국 경제 개방: 1980년대 농축수산물, 자본 시장 개방. 세계화 흐름.
- 외환 위기 (1997, IMF 사태): 세계 경제 질서 대응 미흡 → 국제 통화 기금(IMF) 구제 금융 지원 요청.
- 위기 극복 노력 (김대중 정부): 기업·금융 구조 조정. 금 모으기 운동. IMF 관리 체제 조기 졸업 (2001).
- 사회 변화: 구조 조정 과정 → 실업자 증가, 비정규직 노동자 급증, 빈부 격차 심화 (사회 양극화).
5) 노동 운동과 대중문화의 발달
- 노동 운동:
- 배경: 경제 성장 이면의 저임금, 장시간 노동, 열악한 환경.
- 전개: 전태일 분신 (1970) 계기 본격화. 1987년 6월 민주 항쟁 이후 노동 조합 결성 활발 (노동자 대투쟁).
- 현재: 비정규직 문제, 외국인 노동자 문제, 청년 실업, 사회 양극화 관련 갈등 심화.
- 대중문화 발달:
- 초기 (광복 이후): 미국 등 서구 문화 유입, 전통문화와 혼재.
- 1960년대~: 본격 발달 (가요, 영화, 소설, 스포츠 등). 대중 매체 (잡지, 신문, 라디오, TV) 확산 기여.
- 1970~80년대: 시대상 반영 (소외 계층, 민주화 열망). 정부의 통제와 검열.
- 1990년대 이후: 청소년 문화 영향력 증대. 인터넷, SNS 발달 가속화.
- 스포츠와 한류: 경제 성장 → 여가 관심 증대 → 프로 스포츠(야구, 축구 등) 출범. 국제 대회(올림픽, 월드컵 등) 개최. 세계적 스포츠 스타 배출. 한국 대중문화(K-Pop, 드라마, 영화 등) 세계적 유행 (한류).
스토리텔링
변화하는 경제, 달라지는 삶
1876년 ____으로 문호를 개방하면서, 조선 경제는 세계 자본주의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 편입되었어요. 하지만 준비되지 않은 개방은 외세의 경제 침략을 불러왔죠. 일본 상인들이 쌀과 콩을 마구 사들여 국내 ____이 치솟았고, 값싼 외국산 ____ 때문에 우리 수공업자들은 큰 타격을 입었어요. 청나라와 일본 상인들은 내륙까지 들어와 상권을 장악해 나갔죠. 특히 일본은 ____ 이후 화폐 발행권까지 빼앗아 대한 제국의 재정을 쥐락펴락했어요.
나라의 경제를 지키려는 노력도 있었어요. 열강들이 철도, 광산 같은 이권을 마구 빼앗아 가자, 사람들은 경제적 ____을 벌였어요. ____ 정부도 산업을 키우려 애썼지만 큰 성과를 거두긴 어려웠죠. 지식인들은 실력을 키워야 한다고 외쳤고, 국민들은 나라가 일본에 진 빚을 갚자는 ____(1907)을 벌이기도 했지만, 일제의 방해로 실패하고 말았답니다.
결국 나라는 일제에 넘어가고, 우리 경제는 철저히 일본을 위한 식민지 경제 구조로 재편되었어요. 일제는 한국을 식량과 원료를 공급하고 일본 상품을 팔기 위한 시장으로 만들려 했죠. 철도나 항만 같은 시설들도 우리의 필요보다는 일본의 수탈과 ____을 위해 건설되었어요.
1910년대에는 ____을 실시해 많은 땅을 빼앗아 조선 총독부 소유로 만들었고, ____을 공포해 한국인이 회사를 세우는 것을 까다롭게 만들었어요. 1920년대에는 일본 내 식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____을 추진했는데, 늘어난 생산량보다 더 많은 쌀을 빼앗아가 한국인들은 오히려 식량 부족에 시달려야 했죠. 1930년대 이후 일본이 전쟁을 확대하면서 한국은 전쟁 물자를 공급하는 ____로 전락했어요. 남쪽에서는 면화를, 북쪽에서는 양을 키우게 하는(____ 정책) 등 전쟁 수행에 필요한 자원을 마구 수탈해 갔답니다.
1945년, 드디어 광복을 맞이했지만 우리 경제는 식민지 시기의 상처를 극복하고 스스로 일어서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었어요. 일본인들이 남기고 간 재산을 처리하고, ____을 실시해 농민들이 자기 땅을 가질 수 있게 되었죠. 하지만 곧이어 터진 ____은 모든 것을 폐허로 만들었어요. 전쟁 후 우리는 ____의 원조에 의존해 힘겹게 복구를 시작했죠. 미국이 보내준 밀가루, 설탕, 면화 덕분에 소비재 산업이 발전했지만, 미국 경제에 대한 의존도는 더욱 커졌어요.
본격적인 경제 성장은 1960년대 ____ 정부 때부터 시작되었어요. 정부 주도로 ____을 세우고, 외국 자본을 빌려와 수출 산업을 집중 육성했죠. 1960년대에는 섬유, 신발 같은 ____ 제품을 주로 수출했고, 1970년대에는 철강, 조선, 기계 같은 ____을 발전시켰어요. 덕분에 수출이 크게 늘고 국민 소득도 높아져 ‘한강의 기적’이라 불릴 만큼 놀라운 성장을 이루었죠. 1980년대 이후에는 반도체, 자동차 같은 ____ 산업이 우리 경제를 이끌게 되었답니다.
하지만 빠른 성장에는 그림자도 있었어요. 노동자들은 낮은 임금과 열악한 환경 속에서 장시간 노동에 시달렸고, 정부는 노동 운동을 억압했죠. 농촌은 소외되었고,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는 커졌어요. 환경 오염 문제도 심각해졌고요.
1990년대 후반, 세계 경제는 ____ 바람이 불며 개방화가 가속화되었어요. 우리나라도 시장을 개방했지만, 외환 관리를 제대로 못해 결국 ____(IMF 사태, 1997)를 맞게 되었죠. ____(IMF)의 도움을 받아 위기를 넘겼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기업들이 문을 닫고 실업자가 늘어났어요. ____ 노동자가 급증하고 빈부 격차가 커지는 등 사회 양극화 문제도 더욱 심각해졌답니다.
경제 성장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노동자들의 목소리도 점차 커졌어요. 1970년 평화시장 노동자 ____의 분신은 열악한 노동 현실을 사회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죠. 1987년 ____ 이후에는 노동 조합 결성이 활발해지면서 노동 운동이 더욱 성장했어요. 하지만 외환 위기 이후 비정규직 문제, ____ 문제 등이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어요.
한편, 사람들의 생활이 나아지면서 문화에 대한 관심도 커졌어요. 광복 후 미국 문화가 많이 들어왔고, 1960년대부터는 라디오, TV 같은 ____가 보급되면서 가요, 영화 등 ____가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했죠. 때로는 정부의 간섭과 통제도 있었지만, 대중문화는 시대의 아픔과 기쁨을 담아내며 사람들과 함께 호흡했어요. 1990년대 이후에는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문화의 확산 속도가 더욱 빨라졌죠. 경제 성장과 함께 스포츠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____가 출범하고 올림픽, ____ 같은 국제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어요. 이제는 우리의 대중문화가 세계로 뻗어 나가 ____(K-Wave)라는 이름으로 사랑받고 있답니다!
단답형 문제
(빈칸을 클릭하면 답이 보입니다)
- 개항 이후 일본 상인들이 조선에서 대량으로 사들여 가격 폭등을 유발한 주요 품목은? ____
- 개항 이후 철도, 광산, 삼림 등 나라의 중요한 경제적 권리를 외국에 빼앗긴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____
- 대한 제국이 일본에 진 빚을 국민들이 갚기 위해 벌였던 운동은? ____
- 일제가 식민지 한국을 식량 및 원료 공급지, 상품 시장으로 만들기 위해 추진한 경제 정책의 총칭은? ____
- 1910년대 일제가 토지 소유권을 확정한다는 명분으로 실시하여 많은 토지를 빼앗아간 사업은? ____
- 1910년대 한국인의 회사 설립을 억제하기 위해 공포된 법령은? ____
- 1920년대 일본의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에서 쌀 생산을 늘려 수탈하려던 계획은? ____
- 1930년대 일제가 만주 침략 이후 한반도 북부 공업 지대를 군수 산업 기지로 만든 정책은? ____
- 1930년대 공업 원료 확보를 위해 남쪽에는 면화, 북쪽에는 양 사육을 강요한 정책은? ____
- 광복 이후 지주 중심의 토지 소유 구조를 바꾸기 위해 실시된 개혁은? ____
- 6·25 전쟁 이후 한국 경제 복구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경제적 지원은? ____
- 1962년부터 박정희 정부가 추진한 국가 주도의 경제 성장 계획은? ____
- 1960년대 한국 경제 성장을 이끈 주요 산업 분야는? ____
- 1970년대 정부가 집중 육성한 철강, 기계, 조선 등의 산업 분야는? ____
- 1977년 한국이 달성한 수출 목표액은? ____
- 1980년대 후반 한국 경제의 고도 성장을 이끈 유리한 국제 경제 환경(저유가, 저달러, 저금리)을 무엇이라 하는가? ____
- 1997년 한국이 외환 부족으로 인해 국제 기구에 구제 금융을 신청한 사건은? ____
- 외환 위기 당시 한국에 구제 금융을 지원해 준 국제 기구는? ____
- 198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확산된, 정부 개입 축소와 시장 자율성 확대를 강조하는 경제 사조는? ____
- 외환 위기 극복 과정에서 증가한 고용 형태로, 정규직과 달리 고용 안정성이 낮은 노동자는? ____
- 1970년 열악한 노동 조건 개선을 외치며 분신하여 노동 운동 발전에 큰 영향을 준 인물은? ____
- 1987년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화와 함께 노동자의 권익 향상을 위한 움직임이 거세게 일어난 사건은? ____
- 광복 이후 한국 대중문화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 문화가 유입된 주요 경로는? ____
- 1960년대 이후 가요, 영화 등의 대중문화를 확산시킨 주요 매체는? (2가지 이상) ____
- 1970~80년대 정부가 대중문화 내용을 통제하고 검열했던 제도는? ____
- 1982년 출범하여 한국 스포츠 대중화에 크게 기여한 프로 스포츠 리그는? (예: 야구) ____
- 1988년 한국에서 개최되어 국가 위상을 높인 국제 스포츠 행사는? ____
- 2002년 한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한 세계적인 축구 대회는? ____
- K-Pop, 드라마, 영화 등 한국의 대중문화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는 현상은? ____
- 외환 위기 당시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금을 모아 나라 빚 갚기에 동참했던 운동은? 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