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엔 중3 역사 2
IV. 조선의 성립과 발전
2. 사림 세력과 정치 변화
핵심 내용 정리
1) 사림 세력의 등장과 사화
- 훈구 세력: 세조 즉위 공신 중심. 중앙 고위 관직 독점. 막대한 토지와 노비 소유. 왕실과 혼인 관계 통해 권력 강화.
- 사림 세력: 조선 건국 비협조, 향촌 기반 성리학 연구 학자 계승. 향촌 자치, 왕도 정치, 왕권-신권 조화 추구. 성종 때 김종직 등 등용 (훈구 견제 목적). 3사(언론 기관) 중심으로 활동하며 훈구 비판.
- 사화(士禍) 발생: 훈구와 사림의 정치적 대립 심화 → 사림이 화를 입음.
- 무오사화 (연산군): 김종직의 ‘조의제문’ 빌미 (세조의 왕위 찬탈 비판 해석).
- 갑자사화 (연산군): 연산군 생모 폐비 윤씨 사건 관련자 처벌 구실.
- 기묘사화 (중종): 중종반정 이후 등용된 조광조 등 사림의 급진 개혁 (현량과, 소격서 폐지, 위훈 삭제 등)에 대한 훈구의 반발.
- 을사사화 (명종): 외척(윤원형 등) 간 권력 다툼에 사림 세력 휘말림.
2) 사림 정치의 기반 확대
- 사림의 성장 기반: 여러 차례 사화에도 불구하고 향촌 사회 기반으로 세력 확대.
- 서원 확대: 지방 사림의 교육 기관이자 학문 연구, 선현 제사 공간. 향촌 여론 형성 중심지. 학문 계승 통한 학파 형성. 예) 주세붕의 백운동 서원 → 소수서원(최초의 사액 서원).
- 향약 보급: 상부상조 전통 + 유교 윤리 결합. 조광조가 처음 소개, 이황, 이이가 발전시켜 보급. 사림의 향촌 지배력 강화 (지방민 교화, 통제). 4대 덕목 (덕업상권,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난상휼).
3) 사림 세력의 집권과 붕당 형성
- 사림 집권: 선조 때 중앙 정계 장악.
- 붕당(朋黨) 형성: 사림 세력 내부 정치적 의견 대립 → 정치 집단 형성.
- 계기: 이조 전랑직 임명 문제 (김효원 vs 심의겸).
- 분열: 동인 (김효원 중심, 이황·조식 학문 계승) vs 서인 (심의겸 중심, 이이·성혼 학문 계승).
- 붕당 정치 전개: 상호 비판과 견제 속 공론 정치 추구.
- 동인 분열: 남인 vs 북인.
- 정권 교체: 광해군 (북인 집권) → 인조반정 (서인 집권, 남인 참여).
- 붕당 정치의 의의: 특정 세력 독점 방지, 정치 참여 확대. 학문 발전 기여.
스토리텔링
훈구 vs 사림, 조선 정치의 새 바람
조선 건국 후, 나라를 세우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과 그 후손들은 ____ 세력이라 불리며 높은 벼슬과 많은 재산을 차지했어요. 특히 ____가 왕위에 오르는 것을 도운 공신들은 더욱 큰 힘을 가졌죠. 이들은 왕실과 결혼하며 권력을 더욱 굳건히 했답니다.
한편, 고려 말 조선 건국에 참여하지 않고 고향에 내려가 조용히 성리학을 공부하던 학자들이 있었어요. 이들의 학문을 이어받은 사람들을 ____이라고 불렀죠. 사림은 ____의 가르침에 따라 도덕적인 정치를 펼치고, 백성들이 스스로 마을을 다스리는(____) 이상적인 사회를 꿈꿨어요. 이들은 왕 혼자 모든 것을 결정하기보다 신하들과 함께 논의해야 한다고 생각했죠.
____ 임금은 너무 강해진 훈구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____을 비롯한 사림들을 중앙 관리로 뽑기 시작했어요. 사림들은 주로 ____(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와 같은 언론 기관에 들어가 훈구 세력의 잘못된 점을 날카롭게 비판하기 시작했답니다. 당연히 기존의 훈구 세력은 이게 마음에 들지 않았겠죠?
결국 두 세력은 크게 충돌하게 되었고, 힘이 약했던 사림들이 큰 피해를 입는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했어요. 이것을 ____라고 부른답니다. 첫 번째는 연산군 때 일어난 ____였어요. 김종직이 과거 세조의 왕위 찬탈을 비판하는 듯한 글(____)을 썼다는 이유로 많은 사림들이 죽거나 쫓겨났죠. 얼마 후 연산군은 자신의 어머니 ____ 사건을 다시 꺼내어 또다시 많은 신하들을 죽였는데, 이것이 ____예요.
폭정을 일삼던 연산군이 쫓겨나고 ____이 왕위에 오르자(____), 새로운 희망이 보이는 듯했어요. 중종은 훈구 세력을 견제하려고 ____ 같은 젊고 패기 넘치는 사림들을 대거 등용했죠. 조광조는 성리학 이상 정치를 실현하기 위해 추천으로 인재를 뽑는 ____ 실시, 도교 행사를 주관하던 ____ 폐지, 잘못된 공신 기록(____) 삭제 등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했어요. 하지만 너무 빠른 개혁은 훈구 세력뿐 아니라 중종 임금에게도 부담을 주었고, 결국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들은 ‘나뭇잎 글씨 조작 사건'(주초위왕)같은 모함을 받아 또다시 큰 희생을 치렀답니다. 이것이 바로 ____예요. 이후 ____ 때에는 왕의 외척들(____ 등) 사이의 권력 다툼에 휘말려 ____가 일어나 사림들은 또 한 번 시련을 겪어야 했어요.
이렇게 네 차례나 큰 화를 입었지만, 사림들은 쓰러지지 않았어요. 그들에게는 든든한 뿌리가 있었거든요. 바로 고향의 ____과 ____이었어요. 서원은 훌륭한 학자를 모시고 제자들을 가르치는 사립 학교 같은 곳이었는데, 이곳에서 사림들은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키우며 세력을 넓혀갔죠. 최초의 서원은 ____이 세운 백운동 서원인데, 나중에 임금님으로부터 ____이라는 이름을 받았어요. 향약은 마을 사람들이 서로 돕고 착한 일을 권하며 잘못을 바로잡는 약속이었어요. 사림들은 향약을 통해 마을 사람들을 유교적으로 교화시키며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을 키워나갔죠.
마침내 ____ 임금 때, 사림들은 끈질긴 노력 끝에 중앙 정치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어요! 그런데 이번에는 사림들 내부에서 의견이 갈리기 시작했어요. 특히 ____이라는 중요한 자리를 누가 맡느냐를 두고 ____과 ____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죠. 결국 사림은 김효원을 따르는 ____(주로 이황, 조식의 제자들)과 심의겸을 따르는 ____(주로 이이, 성혼의 제자들)으로 나뉘게 되었어요. 이렇게 학문적, 정치적 입장을 같이하는 사람들끼리 모인 집단을 ____이라고 부른답니다.
처음에는 동인과 서인이 서로 비판하고 견제하며 정치를 이끌어가는 긍정적인 모습도 보였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붕당 간의 대립은 점점 심해졌죠. 동인은 나중에 ____과 ____으로 갈라졌고, 광해군 때는 북인이, ____ 이후에는 서인이 주로 정권을 잡고 남인과 함께 정치를 운영해 나갔답니다. 이렇게 조선의 정치는 사림이 중심이 되어 붕당을 이루어 서로 경쟁하고 협력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어요.
단답형 문제
(빈칸을 클릭하면 답이 보입니다)
- 세조의 왕위 찬탈을 도운 공신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정치 세력은? ____
- 조선 건국에 참여하지 않고 향촌에서 성리학을 연구한 학자들의 후예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____
- 성종 때 사림 세력을 등용한 주된 목적은 무엇인가? ____
- 사림 세력이 주로 진출하여 활동했던 중앙의 언론 기관 세 곳을 통칭하는 말은? ____
- 훈구 세력과 사림 세력의 대립으로 사림이 큰 피해를 입은 사건들을 통칭하는 용어는? ____
- 연산군 때 김종직의 ‘조의제문’이 빌미가 되어 일어난 사화는? ____
- 연산군이 자신의 생모 폐비 윤씨 사건을 구실로 일으킨 사화는? ____
- 연산군을 몰아내고 중종이 왕위에 오른 사건은? ____
- 중종 때 등용되어 급진적인 개혁 정치를 추진했던 사림의 대표 인물은? ____
- 조광조가 추진한 개혁 정책 중 추천을 통해 인재를 등용하는 제도는? ____
- 조광조가 폐지를 주장했던, 도교 행사를 주관하던 관청은? ____
- 조광조가 중종반정 공신 중 자격 없는 자들의 공훈을 삭제하려 했던 조치는? ____
- 조광조의 개혁 정치에 반발한 훈구 세력의 모함으로 사림이 화를 입은 사건은? ____
- 명종 때 외척 세력 간의 권력 다툼 과정에서 사림이 피해를 입은 사화는? ____
- 사림 세력의 학문 연구와 교육, 선현 제사를 위해 지방에 설립된 기관은? ____
- 중종 때 주세붕이 세운 최초의 서원은? ____
- 임금이 이름을 지어주고 서적, 토지, 노비 등을 내려준 서원을 무엇이라 하는가? ____
- 백운동 서원이 사액받은 이름은 무엇인가? ____
- 향촌 사회의 교화와 자치를 위해 사림이 보급한 규약은? ____
- 향약의 4대 덕목 중 ‘좋은 일은 서로 권한다’는 뜻의 항목은? ____
- 향약의 4대 덕목 중 ‘잘못은 서로 꾸짖는다’는 뜻의 항목은? ____
- 향약의 4대 덕목 중 ‘예의 바른 풍속으로 사귄다’는 뜻의 항목은? ____
- 향약의 4대 덕목 중 ‘어려울 때 서로 돕는다’는 뜻의 항목은? ____
- 선조 때 사림 세력이 중앙 정치의 주도권을 잡은 후, 정치적·학문적 입장에 따라 나뉜 집단은? ____
- 붕당 형성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 관직 임명 문제는 어떤 자리와 관련이 있는가? ____
- 이조 전랑직 문제로 처음 나뉜 두 붕당의 이름은? ____
- 동인의 학문적 뿌리가 된 대표적인 학자는? (2명) ____
- 서인의 학문적 뿌리가 된 대표적인 학자는? (2명) ____
- 동인이 이후 분열된 두 붕당의 이름은? ____
- 인조반정 이후 주로 정권을 잡았던 붕당은? 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