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엔 중3 역사2 – III-3. 몽골의 간섭과 고려의 개혁

미래엔 중3 역사2 – III-3. 몽골의 간섭과 고려의 개혁

미래엔 중3 역사 2

III. 고려의 성립과 변천

3. 몽골의 간섭과 고려의 개혁

핵심 내용 정리

1) 원 간섭기, 권문세족이 등장하다

  • 원(몽골)의 내정 간섭:
    • 강화도 조약(1270) 이후 고려는 원의 부마국(사위 나라)이 됨.
    • 정동행성 설치: 일본 원정 준비 기구였으나, 이후 내정 간섭 기구로 변질.
    • 영토 상실: 쌍성총관부(화주-철령 이북), 동녕부(서경), 탐라총관부(제주도) 설치 및 관리.
    • 관제 격하: 2성 6부 → 1부 4사. 왕실 용어 격하 (폐하→전하, 태자→세자 등).
    • 인적·물적 수탈: 공녀(여성 징발), 매(응방 설치), 특산물 요구.
    • 몽골풍 유행: 변발, 호복, 몽골식 이름 사용 등. (고려양도 원에 유행)
  • 권문세족의 등장과 횡포:
    • 구성: 이전의 문벌 귀족 일부 + 무신 집권기 성장 가문 + 원의 세력을 배경으로 성장한 가문 (친원 세력).
    • 특징: 음서 통해 관직 독점. 도평의사사(도병마사 개편) 장악. 대농장 경영 (토지 겸병, 양민 노비화). 불교 사원과 결탁.
    • 횡포: 국가 재정 악화, 농민 생활 피폐, 사회 혼란 야기.

2) 공민왕, 반원 개혁 정치를 추진하다

  • 배경: 14세기 중반 원의 쇠퇴 (홍건적의 난 등).
  • 공민왕의 반원 개혁 정치:
    • 몽골식 풍습 금지 (변발, 호복 폐지).
    • 친원 세력 숙청 (기철 등).
    •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 격하된 관제 복구.
    • 쌍성총관부 공격 → 철령 이북 영토 회복.
    • 신돈 등용 → 전민변정도감 설치 (권문세족 토지·노비 문제 해결 시도).
    • 성균관 정비, 과거제 개혁 → 신진 사대부 등용 기반 마련.
  • 개혁의 한계: 권문세족의 강력한 반발, 신돈 제거, 공민왕 시해 → 개혁 중단 및 실패.
  • 신진 사대부 성장: 공민왕 개혁 과정에서 성장. 성리학 기반. 권문세족 비판. 개혁 의지 강함.

3)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 홍건적 침입 (14세기 후반): 원에 반발한 한족 농민 반란군. 고려 2차례 침입. 개경 함락, 공민왕 피란 (복주-안동). 이방실, 최영 등이 격퇴.
  • 왜구 침입: 쓰시마섬, 북규슈 근거지. 고려 해안 약탈 극심.
  • 왜구 격퇴:
    • 최영 (홍산 대첩).
    • 최무선 (화포 제작, 진포 대첩).
    • 이성계 (황산 대첩).
    • 정지 (관음포 대첩).
    • 박위 (쓰시마섬 정벌).
  • 신흥 무인 세력 성장: 홍건적, 왜구 격퇴 과정에서 이성계 등 군인 세력 성장 → 백성 신망 얻음. 신진 사대부와 연합하여 고려 개혁 시도.

스토리텔링

원의 그늘 아래 고려, 그리고 개혁의 바람

몽골과의 오랜 전쟁 끝에 고려는 ____나라와 강화를 맺었지만, 자주성을 완전히 지키지는 못했어요. 고려 왕은 원나라 황제의 사위가 되어 ‘____‘이 되었고, 원나라는 고려의 정치에 이런저런 간섭을 하기 시작했죠. 처음에는 일본 원정을 준비하기 위해 만들었던 ____이라는 기구가 나중에는 고려의 내정 간섭 기구로 변질되었어요. 슬프게도 땅도 빼앗겼답니다. 화주 지역에는 ____, 서경에는 ____, 제주도에는 ____를 설치하고 직접 다스렸어요.

고려의 제도와 용어도 격이 낮아졌어요. 2성 6부는 ____로 축소되었고, 임금님을 부르는 호칭도 ‘폐하’에서 ‘____‘로, 왕의 아들도 ‘태자’에서 ‘____‘로 바뀌었죠. 원나라는 고려에 많은 것을 요구했어요. 여인들을 ____로 끌고 가고, 사냥에 쓸 매를 잡기 위해 ____을 설치하기도 했죠. 금, 은, 인삼 같은 특산물도 계속 가져갔어요. 이런 상황 속에서 고려 사회에는 몽골식 풍습인 ____(머리 스타일)이나 ____(옷)이 유행하기도 했고, 반대로 원나라에서는 고려의 옷이나 음식이 유행하는 ____ 현상도 나타났답니다.

이 혼란한 시기에 새로운 지배 세력이 등장했어요. 바로 ____이에요. 이들은 원래 고려의 높은 귀족이었거나, 무신 정권 때 힘을 키웠거나, 아니면 원나라와의 관계를 이용해 권력을 잡은 사람들이었죠. 이들은 ____를 통해 관직을 독차지하고, 국가의 중요한 일을 결정하는 ____(원래 도병마사)를 장악했어요. 불법으로 넓은 땅(____)을 차지하고, 힘없는 백성들을 노비로 만들기도 했죠. 이들의 횡포 때문에 나라 살림은 어려워지고 백성들의 삶은 더욱 힘들어졌어요.

하지만 위기는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기도 하죠. 14세기 중반, 중국에서 ____의 난 등이 일어나며 원나라의 힘이 약해지자, 고려의 ____이 개혁을 시작했어요! 공민왕은 먼저 고려 땅에서 몽골식 풍습인 ________을 금지했어요. 그리고 원나라의 힘을 등에 업고 나쁜 짓을 하던 친원 세력(____ 등)을 과감하게 제거했죠. 원의 간섭 기구였던 정동행성의 ____도 폐지하고, 낮아졌던 관직의 이름도 원래대로 되돌렸어요.

가장 큰 성과는 원에게 빼앗겼던 땅을 되찾은 것이에요! 군대를 보내 ____를 공격해서 철령 이북의 땅을 회복했답니다. 안으로는 권문세족의 힘을 빼기 위해 승려 ____을 등용해서 ____이라는 특별 기구를 설치했어요. 이 기구를 통해 권문세족이 불법으로 빼앗은 땅을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고, 억울하게 노비가 된 사람들을 양인으로 해방시켜 주려고 했죠. 또, ____을 정비하고 과거 제도를 개혁해서 새로운 인재들을 뽑으려고 노력했어요. 이때 ____을 공부한 새로운 지식인들, 바로 ____들이 성장하기 시작했답니다.

하지만 공민왕의 개혁은 쉽지 않았어요. 권문세족들이 가만히 있지 않았거든요. 결국 그들의 반발로 신돈은 제거되고, 공민왕마저 암살당하면서 개혁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어요. 그렇지만 공민왕의 개혁은 고려 사회에 새로운 희망의 씨앗을 뿌렸답니다. 바로 ____라는 새로운 세력이었죠.

공민왕 시기, 고려는 외부의 침입으로도 큰 고통을 겪었어요. 중국에서 일어난 ____이 두 차례나 고려를 침략해서 수도 ____까지 함락될 정도였죠. 공민왕은 멀리 ____(안동)까지 피난을 가야 했어요. 다행히 ____, 이방실 같은 장군들이 활약해서 홍건적을 물리칠 수 있었죠.

남쪽 바다에서는 ____(일본 해적)들이 끊임없이 해안가를 약탈하며 백성들을 괴롭혔어요. 이 왜구를 물리치는 과정에서 새로운 영웅들이 등장했어요. ____ 장군은 홍산에서, ____ 장군은 황산에서 왜구를 크게 무찔렀고, ____은 직접 만든 화포를 이용해 ____에서 왜구의 배들을 불태워 버렸죠. 나중에는 ____ 장군이 왜구의 본거지인 ____(대마도)까지 가서 토벌하기도 했답니다. 이렇게 홍건적과 왜구를 물리치면서 ____와 같은 장군들은 백성들의 큰 지지를 받으며 ____으로 성장했어요. 이들은 공민왕 때 성장한 신진 사대부들과 힘을 합쳐 혼란스러운 고려 사회를 개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답니다.

단답형 문제

(빈칸을 클릭하면 답이 보입니다)

  1. 몽골과의 강화 이후 고려가 원나라 황제의 사위 나라가 된 것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____
  2. 원이 일본 원정을 준비하기 위해 설치했으나 이후 내정 간섭 기구로 변질된 것은? ____
  3. 원이 고려의 화주(철령 이북) 지역을 다스리기 위해 설치한 것은? ____
  4. 원이 고려의 서경 지역을 다스리기 위해 설치한 것은? ____
  5. 원이 고려의 제주도 지역을 다스리기 위해 설치한 것은? ____
  6. 원 간섭기에 고려의 2성 6부가 격하되어 개편된 관청 체제는? ____
  7. 원 간섭기에 고려 왕을 부르던 ‘폐하’라는 칭호가 무엇으로 격하되었는가? ____
  8. 원이 고려에 요구하여 징발해 간 여성들을 무엇이라 하는가? ____
  9. 원이 사냥용 매를 조달하기 위해 고려에 설치한 기구는? ____
  10. 원 간섭기 고려에서 유행한 몽골식 머리 스타일은? ____
  11. 원 간섭기 원나라에서 유행한 고려의 풍습을 무엇이라 하는가? ____
  12. 원 간섭기에 등장한 지배 세력으로, 친원적 성향을 띠며 각종 특권을 누린 세력은? ____
  13. 권문세족이 장악했던 고려 후기의 최고 정치 기구는? (도병마사가 개편된 것) ____
  14. 권문세족이 불법적으로 토지를 빼앗아 형성한 넓은 농장을 무엇이라 하는가? ____
  15. 14세기 중반 원나라가 쇠퇴할 무렵 고려에서 반원 개혁 정치를 추진한 왕은? ____
  16. 공민왕이 숙청한 대표적인 친원 세력의 인물은? ____
  17. 공민왕이 폐지한 원의 내정 간섭 기구 중 하나는? ____
  18. 공민왕이 무력으로 수복하여 되찾은 고려의 영토는? ____
  19. 공민왕이 권문세족의 토지와 노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한 개혁 기구는? ____
  20. 공민왕이 전민변정도감의 책임자로 등용한 승려는? ____
  21. 공민왕이 개혁 정치 과정에서 육성하고자 했던 새로운 정치 세력은? ____
  22. 신진 사대부의 사상적 기반이 된 학문은? ____
  23. 공민왕의 개혁 정치가 실패한 주된 이유는? ____
  24. 14세기 후반 원에 반발하여 일어난 한족 농민 반란군으로 고려를 침입하기도 한 세력은? ____
  25. 홍건적의 침입으로 공민왕이 피난 갔던 곳은 어디인가? ____
  26. 고려 말, 해안가를 중심으로 극심한 노략질을 일삼았던 일본 해적은? ____
  27. 최무선이 화포를 이용하여 왜구를 크게 물리친 해전은? ____
  28. 이성계가 황산에서 왜구를 크게 격파한 전투는? ____
  29. 박위가 왜구의 근거지를 정벌하기 위해 공격한 섬은? ____
  30.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하는 과정에서 성장한 새로운 군인 세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____

5지 선다형 문제

© 2025 미래엔 역사 학습 페이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