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엔 중3 역사2 – III-2. 고려의 대외 관계

미래엔 중3 역사2 – III-2. 고려의 대외 관계

미래엔 중3 역사 2

III.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고려의 대외 관계

핵심 내용 정리

1) 다원적 국제 질서가 만들어지다

  • 10~12세기 동아시아 정세: 송(한족), 요(거란족), 금(여진족) 등 여러 나라가 세력 균형 이루며 공존 (다원적 국제 질서). 고려도 독자적 세력 형성.
  • 고려와 송의 관계: 고려는 송과 활발히 교류. 선진 문물 수용, 경제적·문화적 이익 추구. 송은 거란, 금 견제 위해 고려와 외교 관계 유지.
  • 거란(요)의 침입과 격퇴:
    • 배경: 고려의 북진 정책, 송과의 친선 관계에 거란 불만.
    • 1차 침입(993): 서희의 외교 담판 → 거란군 철수, 고려는 송과 관계 끊고 거란과 교류 약속, 압록강 동쪽 강동 6주 확보.
    • 2차 침입(1010): 강조의 정변 구실. 양규의 활약으로 격퇴.
    • 3차 침입(1018): 강감찬의 귀주 대첩(1019) → 거란군 대파.
    • 결과: 고려-송-요 세력 균형 유지. 고려, 개경 나성 축조, 국경 지역 천리장성 축조(압록강~도련포).
  • 여진(금)과의 관계:
    • 초기: 여진족은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섬김. 12세기 완옌부 중심으로 세력 통합 후 고려 국경 침범.
    • 윤관의 여진 정벌: 별무반(신기군, 신보군, 항마군) 편성 → 여진 정벌, 동북 9성 축조(1107). 여진의 반환 요구, 관리 어려움으로 1년 만에 반환.
    • 금 건국(1115): 여진족, 금 건국 후 요 멸망, 송 압박. 고려에 군신 관계 요구. 이자겸 등 문벌 귀족 수용(1126).
  • 기타 교류: 일본, 아라비아 상인 등과 교류. 벽란도(국제 무역항). ‘코리아(Korea)’ 이름 유래.

2) 고려, 몽골의 침입에 맞서 싸우다

  • 몽골 제국 성장: 13세기 초 칭기즈 칸이 몽골 통일. 유라시아 대륙 정복 활동 전개.
  • 몽골 침입 배경: 고려-몽골 연합 강동성 전투 이후 몽골 사신 저고여 피살 사건 구실.
  • 1차 침입(1231): 박서의 귀주성 항전. 고려-몽골 강화 체결, 몽골군 철수.
  • 최우 정권의 항전: 몽골의 무리한 요구 거부, 수도 강화도 천도(1232) → 장기 항전 준비.
  • 몽골의 재침입과 고려의 항전:
    • 처인성 전투: 승려 김윤후가 몽골 장수 살리타 사살.
    • 충주성 전투: 노비 등 하층민 활약.
    • 백성들의 끈질긴 저항 (산성, 섬 피난).
    • 문화재 소실 (황룡사 9층 목탑, 초조대장경 등). 부처의 힘으로 국난 극복 기원 → 팔만대장경 조판 시작(1236~1251).
  • 강화 체결(1270): 최씨 무신 정권 붕괴 후 개경 환도 결정. 몽골과 강화 체결.
  • 삼별초의 항쟁: 배중손 지휘 아래 개경 환도 반대, 강화도 → 진도 → 제주도로 이동하며 항전. 여몽 연합군에 의해 진압(1273). 자주정신 보여줌.

스토리텔링

격동의 동아시아, 고려의 선택과 항쟁

고려가 건국될 무렵, 중국 대륙에서는 당나라가 멸망하고 여러 나라들이 힘을 겨루는 혼란한 시대였어요. 북방에서는 ____족이 세운 요나라가, 이후에는 ____족이 세운 금나라가 강력한 힘을 자랑했고, 남쪽에는 한족이 세운 ____나라가 있었죠. 이렇게 여러 나라가 힘의 균형을 이루는 ____ 속에서 고려는 당당히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며 성장했답니다.

고려는 특히 ____나라와 친하게 지냈어요. 송의 발달된 문물을 받아들이고, 무역을 통해 경제적 이익도 얻었죠. 송나라 역시 북방 민족을 견제하기 위해 고려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했어요. 고려의 국제 무역항이었던 ____에는 송나라 상인뿐 아니라 멀리 ____ 상인들까지 찾아와 교역을 했답니다. 이때 고려의 이름이 서양에 알려져 오늘날 ‘____‘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고 해요!

하지만 북방 민족과의 관계는 순탄치 않았어요.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____(요)은 고려가 송과 친하게 지내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겼어요. 결국 993년, 거란의 ____이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략해 왔죠(1차 침입). 이때 고려의 뛰어난 외교관 ____가 담판을 벌여 거란군을 물러나게 하고, 오히려 압록강 동쪽의 ____ 땅을 얻어내는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어요!

거란은 이후에도 두 차례나 더 고려를 침략했어요. 3차 침입(1018년) 때는 ____ 장군이 ____에서 벌어진 큰 전투(귀주 대첩, 1019년)에서 거란군을 크게 무찔렀답니다. 이 승리 이후 동아시아에는 고려, 송, 요 사이에 힘의 균형이 유지되었어요. 고려는 국방을 강화하기 위해 수도 ____에 성을 쌓고, 북쪽 국경에는 압록강에서 동해안까지 이어지는 긴 성벽, ____을 쌓았죠.

거란이 물러간 뒤에는 동북방의 ____족이 힘을 키우기 시작했어요. 처음에는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섬기던 여진족이 점차 성장하여 고려 국경을 넘보기 시작하자, 고려의 ____ 장군은 특별 부대인 ____(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으로 구성)을 이끌고 여진족을 정벌했어요. 그리고 그 지역에 9개의 성(____)을 쌓았죠(1107년). 하지만 여진족의 계속된 반환 요구와 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결국 1년 만에 돌려주고 말았답니다.

힘을 키운 여진족은 마침내 ____나라를 세우고(1115년), 거란(요)을 멸망시킨 뒤 송나라까지 압박했어요. 그리고는 고려에게 자신들을 황제로 모시는 ____를 요구했죠. 당시 권력을 잡고 있던 문벌 귀족 ____ 등은 현실적인 힘의 차이를 인정하고 금의 요구를 받아들였어요(1126년).

13세기 초, 북방 초원에서는 ____이 몽골족을 통일하고 거대한 제국을 건설하기 시작했어요. 몽골은 순식간에 유라시아 대륙을 정복해 나갔고, 고려에도 손길을 뻗치기 시작했죠. 고려에 왔던 몽골 사신 ____가 국경 지역에서 피살된 사건을 구실 삼아 몽골은 고려를 침략해 왔어요(1231년). 첫 침입 때 ____ 장군이 ____에서 끈질기게 저항했지만, 결국 고려는 몽골과 강화를 맺게 되었죠.

하지만 당시 고려의 실권자였던 무신 ____는 몽골에 맞서 싸우기로 결심하고, 수도를 ____로 옮겼어요(1232년). 몽골은 수군이 약했기 때문에 섬으로 들어오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한 거죠. 이후 고려는 약 40년간 몽골과 힘겨운 싸움을 벌였어요. ____(용인) 전투에서는 승려 ____가 화살로 몽골 장수 ____를 사살하는 큰 공을 세우기도 했고, ____에서는 노비들까지 힘을 합쳐 몽골군을 물리쳤답니다. 백성들은 산성이나 섬으로 피난하며 끈질기게 저항했어요.

몽골의 계속된 침략으로 국토는 황폐해지고, ________ 같은 소중한 문화재들이 불타 없어지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어요. 고려 사람들은 부처님의 힘으로 몽골을 물리치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을 담아 ____(재조대장경)을 만들기 시작했답니다.

결국 최씨 무신 정권이 무너지자, 고려 정부는 몽골과의 강화를 결정하고 수도를 다시 ____으로 옮겼어요(1270년). 하지만 무신 정권의 군사 기반이었던 ____는 끝까지 몽골에 맞서 싸우기로 결심했어요. ____의 지휘 아래 ____에서 봉기하여, ____, 그리고 ____로 근거지를 옮겨가며 3년간 끈질기게 항전했지만, 결국 고려와 몽골 연합군에게 진압되고 말았죠(1273년). 비록 실패했지만, 삼별초의 항쟁은 외세에 굴복하지 않은 고려의 자주정신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답니다.

단답형 문제

(빈칸을 클릭하면 답이 보입니다)

  1. 10~12세기 동아시아에서 송, 요, 금 등 여러 나라가 힘의 균형을 이룬 국제 질서를 무엇이라 하는가? ____
  2. 고려가 송과 활발히 교류하며 선진 문물을 수용한 주된 이유는? ____
  3. 고려의 북진 정책과 송과의 친선 관계에 불만을 품고 침입해 온 나라는? ____
  4. 거란의 1차 침입 때 외교 담판으로 강동 6주를 획득한 인물은? ____
  5. 서희가 거란 장수 소손녕과의 담판에서 확보한 압록강 동쪽의 영토는? ____
  6. 거란의 2차 침입 때 흥화진 등에서 활약하여 거란군을 격퇴한 장군은? ____
  7. 거란의 3차 침입 때 귀주에서 거란군을 크게 물리친 고려의 장수는? ____
  8. 강감찬이 거란의 대군을 격파한 전투는? ____
  9. 귀주 대첩 이후 고려가 국방 강화를 위해 개경 주위에 쌓은 성은? ____
  10. 귀주 대첩 이후 고려가 북쪽 국경 지역에 쌓은 긴 성벽은? ____
  11. 12세기 초 고려 국경을 침범하기 시작한 동북방의 민족은? ____
  12. 윤관이 여진 정벌을 위해 편성한 특별 부대의 이름은? ____
  13. 별무반을 구성하는 세 종류의 군대는? ____
  14. 윤관이 여진족을 몰아내고 동북 지역에 쌓은 9개의 성은? ____
  15. 여진족이 세운 나라는? ____
  16. 금나라가 고려에 요구한 관계는? ____
  17. 금의 군신 관계 요구를 수용한 고려의 집권 세력은? ____
  18. 고려 시대 국제 무역항으로 아라비아 상인까지 왕래했던 곳은? ____
  19. ‘Korea’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 국가는? ____
  20. 13세기 초 몽골족을 통일하고 대제국을 건설한 인물은? ____
  21. 몽골이 고려를 침입하는 구실이 된 사건은? ____
  22. 몽골의 1차 침입 때 귀주성에서 끝까지 항전한 장수는? ____
  23. 몽골의 침입에 맞서 고려 정부가 수도를 옮긴 곳은? ____
  24. 몽골 침입 당시 처인성 전투에서 몽골 장수 살리타를 사살한 인물은? ____
  25. 몽골 침입 당시 불타 없어진 대표적인 문화재 2가지는? ____
  26. 고려가 부처의 힘으로 몽골을 물리치고자 하는 염원을 담아 만든 대장경은? ____
  27. 최씨 무신 정권 붕괴 후 고려 정부가 몽골과 강화를 맺고 수도를 다시 옮긴 곳은? ____
  28. 개경 환도에 반대하며 끝까지 몽골에 항전한 무신 정권의 군사 조직은? ____
  29. 삼별초 항쟁을 이끈 초기 지도자는? ____
  30. 삼별초가 강화도 → 진도 → (?) 로 이동하며 항전한 마지막 근거지는? ____

5지 선다형 문제

© 2025 미래엔 역사 학습 페이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