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엔 중3 역사 2
II. 남북국 시대의 전개
1. 신라의 삼국 통일과 발해의 건국
핵심 내용 정리
1) 고구려가 수와 당의 침략을 물리치다
- 6세기 말 동아시아 정세: 돌궐, 고구려, 백제, 왜 vs 수(隋), 신라.
- 수의 침략: 고구려 요서 지방 선제공격 → 수 문제 침략 실패 → 수 양제 113만 대군 침략 → 을지문덕의 살수 대첩(612)으로 격퇴. 수 멸망의 원인 제공.
- 당의 침략: 당 태종 침략 → 안시성 전투(645)에서 격퇴.
- 고구려의 역할: 수, 당의 침략 막아냄으로써 민족의 방파제 역할 수행.
- 내부 분열: 연개소문 집권 후 독재 정치 → 지배층 분열 심화.
2) 삼국이 통일되다
- 신라의 위기: 백제 의자왕의 공격으로 대야성 함락(642), 김춘추 고구려에 도움 요청 실패 → 당과 동맹 체결(나·당 동맹, 648).
- 백제 멸망(660): 나·당 연합군 공격 → 계백의 황산벌 전투 패배 → 사비성 함락. 백제 부흥 운동 전개 (복신, 도침, 흑치상지 등).
- 고구려 멸망(668): 연개소문 사후 지배층 내분 → 나·당 연합군 공격 → 평양성 함락. 고구려 부흥 운동 전개 (검모잠, 고연무, 안승 등).
- 나·당 전쟁: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 (웅진 도독부, 계림 도독부, 안동 도호부 설치) → 신라, 백제/고구려 유민과 연합하여 당과 전쟁 → 매소성, 기벌포 전투 승리 → 삼국 통일 달성(676).
- 통일의 의의와 한계: 당 세력 축출, 민족 문화 발전 기반 마련 / 외세(당) 이용, 대동강 이남 영토 확보 한계.
3) 고구려 유민, 발해를 세우다
- 건국 과정: 고구려 멸망 후 당의 지배 → 고구려 장군 출신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 이끌고 동모산 기슭에서 발해 건국(698).
- 고구려 계승 의식: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 국왕’ 칭호 사용. 발해 문화 곳곳에 고구려 양식 계승. 지배층 다수 고구려인.
-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와 발해가 공존한 시기.
스토리텔링
고구려의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그리고 발해
6세기 말, 중국 대륙에서는 오랫동안 분열되어 있던 나라들이 하나로 통일되었어요. 바로 ____나라였죠. 수는 강력한 힘을 바탕으로 주변 나라들에게 복종을 요구했어요. 당시 동아시아는 북방의 강자 ____과 고구려, 백제, ____가 힘을 합쳐 수나라와 신라의 연합에 맞서는 구도였답니다.
고구려는 수의 요구를 거부하고 오히려 수의 요서 지방을 먼저 공격했어요. 이에 화가 난 수 문제는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왔지만 실패했죠. 그의 아들 수 ____는 무려 113만 명이라는 어마어마한 군대를 이끌고 다시 고구려를 침략했어요. 하지만 고구려에는 명장 ____이 있었죠! 그는 거짓 항복으로 적을 유인한 뒤, ____(지금의 청천강)에서 강물을 막았다가 터뜨리는 기막힌 작전으로 수나라 군대를 거의 전멸시켰어요(살수 대첩, 612년). 이 큰 패배는 결국 수나라가 멸망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답니다.
수나라에 이어 중국을 통일한 ____나라 역시 고구려를 압박했어요. 당 태종은 고구려의 ____ 축조 등을 빌미 삼아 직접 대군을 이끌고 침략해왔죠. 여러 성들이 함락되었지만, ____에서는 성주와 백성들이 굳건히 버텨 당나라 대군을 물리쳤어요(안시성 전투, 645년). 고구려는 이렇게 중국의 거대한 통일 제국의 침략을 연이어 막아내며 우리 민족을 지키는 든든한 방파제 역할을 했답니다.
하지만 계속된 전쟁으로 고구려의 힘은 약해졌고, 정권을 잡은 ____의 독재 정치로 지배층 내부의 분열도 심해졌어요.
한편, 신라는 백제의 계속된 공격으로 위기에 처했어요. 특히 백제 ____의 공격으로 중요한 성이었던 ____이 함락되자(642년), 당시 신라의 실력자였던 ____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고구려에 도움을 청하러 갔어요. 하지만 연개소문은 신라가 차지한 한강 유역 땅을 돌려달라고 요구하며 도움을 거절했죠. 결국 김춘추는 바다를 건너 ____나라로 가서 동맹을 맺는 데 성공했어요. 이것이 바로 ____(648년)이에요.
힘을 합친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은 먼저 백제를 공격했어요(660년). 백제의 명장 ____이 이끄는 5천 결사대가 ____에서 용감하게 싸웠지만 수적인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패배했어요. 결국 수도인 ____이 함락되면서 백제는 멸망하고 말았죠. 하지만 백제 유민들은 ____, ____, ____ 등을 중심으로 나라를 되찾기 위한 부흥 운동을 끈질기게 벌였답니다.
백제를 멸망시킨 나·당 연합군은 이번에는 고구려로 향했어요(668년). 연개소문이 죽은 뒤 아들들 사이의 권력 다툼으로 혼란스러웠던 고구려는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고 수도 ____이 함락되면서 멸망하고 말았어요. 고구려 유민들도 ____, ____, ____ 등을 중심으로 부흥 운동을 일으켰지만 실패로 돌아갔죠.
삼국을 모두 멸망시킨 당나라는 원래 약속과는 달리 한반도 전체를 지배하려는 야욕을 드러냈어요. 옛 백제 땅에는 ____를, 신라 땅에는 ____를, 옛 고구려 땅에는 ____를 설치했죠. 이에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 유민들과 힘을 합쳐 당나라와 전쟁을 벌였어요. 육지에서는 ____ 전투에서, 바다에서는 ____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두며 마침내 당나라 세력을 한반도에서 완전히 몰아냈답니다(676년). 이로써 신라는 삼국 통일을 완성했어요!
신라의 삼국 통일은 당나라 세력을 몰아내고 민족 최초의 통일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어요. 우리 민족 문화가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죠. 하지만 당이라는 외세를 끌어들였고, 고구려의 넓은 만주 땅을 잃고 ____ 이남 지역만 통일했다는 한계점도 가지고 있답니다.
고구려가 멸망한 지 30년이 지난 698년, 고구려 장군 출신이었던 ____이 고구려 유민과 ____족을 이끌고 당나라의 지배에서 벗어나 만주 동모산 기슭에 새로운 나라를 세웠어요. 바로 ____예요! 발해는 일본에 보낸 외교 문서에 스스로를 ‘____‘이라고 칭하고, 문화적으로도 고구려 양식을 많이 계승하며 고구려를 이었음을 분명히 했죠.
이렇게 남쪽에는 통일 신라가, 북쪽에는 발해가 함께 존재하게 되면서 우리 역사는 ____를 맞이하게 되었답니다.
단답형 문제
(빈칸을 클릭하면 답이 보입니다)
- 6세기 말 중국을 통일한 왕조는? ____
- 수 양제가 113만 대군으로 고구려를 침략했을 때 살수에서 크게 승리한 고구려 장군은? ____
- 을지문덕이 수나라 군대를 크게 물리친 전투는? ____
- 수나라 멸망의 원인이 된 무리한 전쟁은? ____
- 수나라에 이어 중국을 통일한 왕조는? ____
- 당 태종의 침략을 막아낸 고구려의 성은? ____
- 고구려 말기 강력한 권력을 휘두른 인물은? ____
- 신라 김춘추가 당과 맺은 군사 동맹은? ____
- 나·당 연합군에 의해 가장 먼저 멸망한 나라는? ____
- 백제 멸망 당시 황산벌에서 나·당 연합군과 싸운 장군은? ____
- 백제 부흥 운동을 이끈 인물 3명은? ____
- 나·당 연합군에 의해 두 번째로 멸망한 나라는? ____
- 고구려 부흥 운동을 이끈 인물 3명은? ____
- 당나라가 옛 백제 지역에 설치한 통치 기구는? ____
- 당나라가 신라 지역에 설치한 통치 기구는? ____
- 당나라가 옛 고구려 지역에 설치한 통치 기구는? ____
- 신라가 당나라와 벌인 전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____
- 나·당 전쟁 중 신라 육군이 당군을 크게 물리친 전투는? ____
- 나·당 전쟁 중 신라 수군이 당군을 크게 물리친 전투는? ____
- 신라가 삼국 통일을 완성한 해는? ____
- 신라 삼국 통일의 의의는 무엇인가? ____
- 신라 삼국 통일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____
-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끌고 발해를 건국한 인물은? ____
- 발해가 건국된 곳의 지명은? ____
- 발해가 건국된 해는? ____
-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했다는 증거는 무엇인가? (2가지 이상) ____
- 통일 신라와 발해가 공존했던 시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____
- 김춘추가 고구려에 도움을 요청했을 때 연개소문이 요구한 것은? ____
- 백제 부흥 운동 당시 왜(일본)의 지원군이 나·당 연합군에게 크게 패한 전투는? ____
- 고구려 부흥 운동 세력이 신라의 지원을 받아 세운 나라의 이름은? 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