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엔 중3 역사2 – I-1. 선사 문화와 고조선

미래엔 중3 역사2 – I-1. 선사 문화와 고조선

미래엔 중3 역사 2

I. 선사 문화와 고대 국가의 형성

1. 선사 문화와 고조선

핵심 내용 정리

1) 만주와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다 (구석기 시대)

  • 시기: 약 70만 년 전
  • 도구: 뗀석기 (주먹도끼, 찍개, 긁개, 슴베찌르개 등) – 돌을 깨뜨리거나 떼어 내어 제작.
  • 생활: 사냥, 채집 (이동 생활). 동굴, 바위 그늘, 강가의 막집 거주. 불 사용.
  • 사회: 무리 사회 (평등 사회).

2)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다 (신석기 시대)

  • 시기: 기원전 8000년경
  • 도구: 간석기 (돌을 갈아 만듦 – 갈돌, 갈판 등). 토기 제작 (빗살무늬 토기 – 음식 조리, 저장). 뼈바늘, 가락바퀴 (옷, 그물 제작).
  • 생활: 농경, 목축 시작 (정착 생활 시작). 강가, 바닷가 움집 거주. 여전히 사냥, 채집, 고기잡이 중요.
  • 사회: 씨족 중심 부족 사회 (평등 사회).
  • 신앙: 애니미즘 (자연물 숭배), 토테미즘 (특정 동식물 숭배), 샤머니즘 (무당 숭배). 조상 숭배.

3) 만주와 한반도에서 청동기 문화가 발전하다 (청동기 시대)

  • 시기: 기원전 2000년경 ~ 기원전 1500년경
  • 도구: 청동기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등 – 지배층 무기, 의식용 도구). 간석기 (반달 돌칼 – 농기구). 토기 (민무늬 토기, 미송리식 토기).
  • 생활: 벼농사 시작. 주거지 규모 확대 (배산임수).
  • 사회: 사유 재산, 계급 발생 (빈부 격차). 군장(족장) 등장. 고인돌 축조 (지배층 무덤). 선민사상.

4) 최초의 국가, 고조선이 세워지다

  • 건국 (기원전 2333년경 추정): 청동기 문화 기반. 단군왕검 건국 신화 (단군-제사장, 왕검-정치 지배자 → 제정일치 사회). 홍익인간 이념.
  • 성장: 요령 지방 중심 성장 → 기원전 4세기경 왕위 세습, 관직 정비. 철기 수용.
  • 사회 모습: 8조법 (생명 존중, 사유 재산 보호, 노동력 중시, 계급 사회).

5) 고조선이 발전하다 (위만 조선 ~ 멸망)

  • 위만 집권 (기원전 194년경): 준왕 축출. 철기 문화 본격 수용 → 농업, 수공업 발달, 군사력 강화.
  • 중계 무역: 한(漢)과 남방의 진(辰) 사이에서 중계 무역으로 번성 → 한과 대립.
  • 한과의 전쟁 및 멸망 (기원전 108년): 한 무제의 침략 → 1년간 항전 끝에 수도 왕검성 함락. 멸망 후 한은 고조선 지역에 군현 설치.
  • 고조선 문화의 계승: 고조선 유민들, 한 군현에 저항. 이후 여러 나라 성립의 바탕.

스토리텔링

우리 역사의 시작

아주 아주 오래전, 약 ____년 전에 우리 땅에 처음으로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어요. 이 시기를 ____ 시대라고 부르죠. 이때 사람들은 돌을 깨뜨리거나 떼어 내서 도구를 만들었는데, 이것을 ____라고 해요. 사냥에 썼던 ________, 가죽을 벗기거나 나무를 다듬는 데 썼던 ________ 등이 있었답니다.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아직 농사를 지을 줄 몰라서, 먹을 것을 찾아 이곳저곳 옮겨 다니는 ____을 했어요. ____을 하거나 나무 열매를 따는 ____을 했죠. 잠은 주로 ____이나 바위 그늘에서 잤고, 강가에 나뭇가지 등으로 얼기설기 만든 ____에서 살기도 했어요. 추위를 피하고 맹수를 쫓기 위해 ____을 사용하기도 했답니다. 혼자서는 살기 힘드니 여러 사람이 ____를 지어 다녔는데, 아직 지배자나 가난한 사람이 없는 ____ 사회였어요.

시간이 흘러 기원전 ____년경, 날씨가 따뜻해지고 새로운 시대가 열렸어요. 바로 ____ 시대죠! 이 시대의 가장 큰 변화는 바로 ________을 시작했다는 거예요. 직접 곡식을 키우고 가축을 기르면서 사람들은 더 이상 먹을 것을 찾아 떠돌아다닐 필요 없이 한 곳에 머물러 사는 ____을 하게 되었죠. 집도 땅을 파고 기둥을 세워 만든 ____에서 살았는데, 주로 강가나 바닷가 근처에 마을을 이루었어요. 물론 여전히 사냥이나 고기잡이도 중요했답니다.

도구도 훨씬 발전했어요. 돌을 날카롭게 갈아서 만든 ____를 사용했죠. 곡식의 껍질을 벗기거나 가루로 만드는 데 ________을 썼어요. 또, 흙으로 그릇을 빚어 불에 구운 ____를 만들어 음식을 조리하거나 저장했는데, 특히 뾰족한 밑바닥에 빗살무늬가 새겨진 ____가 대표적이에요. ________로는 실을 뽑아 옷이나 그물을 만들었답니다.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씨족끼리 모여 살다가 점차 다른 씨족과 결혼하며 ____ 사회를 이루었어요. 여전히 모두가 평등했죠. 자연 현상이나 자연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____, 특정 동식물을 자신들의 조상과 연결하는 ____, 하늘과 인간을 연결하는 존재인 무당을 믿는 ____ 같은 원시 신앙이 생겨났고, 돌아가신 조상을 숭배하기도 했어요.

기원전 ____년경, 반짝이는 금속인 ____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____ 시대가 시작되었어요. ____이나 ____ 같은 청동기는 주로 지배층의 무기나 제사를 지낼 때 쓰는 도구로 사용되었어요. 청동은 귀하고 만들기 어려웠거든요. 그래서 농기구는 여전히 돌로 만든 ____를 썼는데, 곡식의 이삭을 자르는 ____이 대표적이죠. 토기는 무늬가 없는 ____나 손잡이가 달린 ____ 등을 사용했어요.

청동기 시대에는 농업 기술이 더욱 발달하여 ____를 짓기 시작했고,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남는 생산물이 생겼어요. 이 남는 생산물을 더 많이 가진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이 생기면서 ________이 발생했죠. 힘이 센 사람은 무리를 다스리는 지배자가 되었는데, 이들을 ____ 또는 족장이라고 불러요. 군장은 죽으면 자신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수많은 사람을 동원하여 큰 돌무덤인 ____을 만들었어요. 또한 자신들은 하늘로부터 선택받았다는 ____을 내세워 권위를 높이려 했죠.

이렇게 사회가 발전하면서 드디어 우리 역사 최초의 국가인 ____이 등장했어요! 기원전 ____년경, ____이 고조선을 세웠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죠. 단군은 제사장, 왕검은 정치 지도자를 뜻하는데, 한 사람이 두 역할을 모두 맡았다는 것은 당시 사회가 제사와 정치가 하나인 ____ 사회였음을 보여줘요. 고조선은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____의 이념을 내세웠답니다.

고조선은 요령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하다가 점차 힘을 키워 왕위가 세습되고 여러 관직도 마련되었어요. 기원전 4세기 무렵에는 중국의 연나라와 맞설 만큼 강해졌죠. 고조선 사회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것이 바로 ____이에요.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한다”, “남에게 상처를 입힌 자는 곡식으로 갚는다”, “도둑질한 자는 노비로 삼는다” 등의 내용이 전해지는데, 이를 통해 생명과 ____을 보호하고, 노동력을 중시했으며, ____이 존재하는 사회였음을 알 수 있어요.

기원전 194년경, 중국에서 건너온 ____이라는 사람이 고조선의 ____을 몰아내고 새로운 왕이 되었어요. 위만은 더욱 발전된 ____ 문화를 본격적으로 받아들여 농업과 수공업을 발전시키고 군사력도 강화했죠. 고조선은 지리적 이점을 이용해 중국의 ____나라와 한반도 남쪽의 여러 나라 사이에서 물건을 전달하며 이익을 얻는 ____으로 크게 번성했어요.

하지만 이 중계 무역 때문에 한나라와 사이가 나빠졌고, 결국 한나라 ____의 침략을 받게 되었어요. 고조선 사람들은 1년 넘게 끈질기게 저항했지만, 결국 수도인 ____이 함락되면서 기원전 ____년에 멸망하고 말았답니다. 한나라는 고조선 땅에 여러 ____을 설치해 직접 다스리려 했지만, 고조선 유민들은 이에 맞서 싸우며 우리 민족의 역사를 이어갔어요.

단답형 문제

(빈칸을 클릭하면 답이 보입니다)

  1. 우리나라에서 구석기 시대가 시작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몇 년 전인가? ____
  2. 구석기 시대 사람들이 사용한, 돌을 깨뜨리거나 떼어 내 만든 도구는? ____
  3.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사냥 도구는? (2가지 이상) ____
  4. 구석기 시대 사람들의 주된 생활 방식은? (2가지) ____
  5. 구석기 시대 사람들이 살았던 곳은? (3가지) ____
  6. 신석기 시대가 시작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몇 년 전인가? ____
  7. 신석기 시대에 돌을 갈아 만든 도구는? ____
  8.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는? ____
  9. 신석기 시대에 옷이나 그물을 만드는 데 사용된 도구는? (2가지) ____
  10. 신석기 시대의 가장 큰 변화로, 인류가 식량을 생산하기 시작한 활동은? (2가지) ____
  11. 농경의 시작으로 신석기 시대 사람들의 생활 방식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____
  12.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살았던 집의 형태는? ____
  13. 신석기 시대의 사회 조직 단위는? (2단계) ____
  14.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믿었던, 자연물이나 자연 현상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신앙은? ____
  15.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금속 도구는? ____
  16.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기이자 의식용 도구는? ____
  17. 청동기 시대에 곡식의 이삭을 자르는 데 사용된 돌 농기구는? ____
  18.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는? ____
  19. 청동기 시대에 시작된 농사는? ____
  20. 청동기 시대에 사유 재산과 빈부 격차가 발생하면서 나타난 사회 현상은? ____
  21. 청동기 시대의 지배층 무덤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돌무덤은? ____
  22. 우리 역사상 최초의 국가는? ____
  23. 고조선을 건국했다고 전해지는 인물은? ____
  24. 단군왕검 신화에서 단군(제사장)과 왕검(정치 지배자)의 의미를 통해 알 수 있는 고조선 사회의 특징은? ____
  25. 고조선의 건국 이념으로, ‘널리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뜻을 가진 말은? ____
  26. 고조선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는 법은? ____
  27. 기원전 194년경 고조선의 준왕을 몰아내고 왕위를 차지한 인물은? ____
  28. 위만 집권 이후 고조선이 본격적으로 수용한 문화는? ____
  29. 고조선이 한과 진 사이에서 행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었던 무역 형태는? ____
  30. 고조선을 멸망시킨 중국 왕조와 황제는? ____

5지 선다형 문제

© 2025 미래엔 역사 학습 페이지. All rights reserved.